절세혜택 줄어든 연금계좌 커버드콜? 국내 배당주 ETF?
안녕하세요. Green입니다.
과세이연 혜택이 줄어든 연금계좌들을 가지고 아주 많은 분들의 대응방안이 나오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나오는 방법들에 대해서 저의 생각도 정리할겸 포스팅 해보려 합니다.
어째뜬 내년이 될 때까지 개정안이 나오긴 할텐데... 원래대로 돌리지 않는다면 중도인출에 대해서도 어떻게 변경이 되는 것인지 관심이 필요합니다. 과세이연이 있는 연금계좌의 중도인출과 없는 중도인출은 엄청난 차이를 보이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세액공제만큼만 투자를 하신분들이 월 100만원의 분배금을 만들었다고 가정하고 55세 전까지는 연금을 실행 못시키니 중도인출해서 사용한다고 했을 때 16.5%의 세금을 내야 하는데 과세이연이 없어지면 절대 감수할 수 없는 세금을 내야하기 때문입니다.
커버드콜 투자

커버드콜 투자에 대해서 논하기 전에... 증권사들에 대해서 약간의 배신감이 드는 느낌적인 느낌입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24년에 증권사들이 신규 상장을 시키는 커버드콜을 보면서 단순히 사람들이 고배당을 많이 원해서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지금의 상황을 준비하기 위해 사전에 준비했던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데 가장 나쁜 생각으로 소설을 써보자면 "연금계좌들의 인기가 높아지는데 이 사실이 일찍 알려지면 연금계좌로 자금들이 들어오지 않았을 것이니 우선 과세이연을 포함한 세제혜택으로 홍보해서 자금들을 끌어들이고 어차피 들어온 자금 쉽게 빼진 않을 것이다 그러니 그 대응책의 상품들을 만들어 놓으면 저절로 그 안에서 옮겨질 것이다" 이런 생각이 아니었을까 합니다... 단순한 제 뇌피셜 입니다.
어째뜬 이제 커버드콜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자면 결론적으로 커버드콜은 일부배당+옵션매도 금액으로 배당금(분배금)을 만들어 내다보니 옵션매도 금액은 현재 배당소득세가 붙지 않는다가 요지이고 그래서 연금계좌에서 대안이다 라는 것인데 자산이 얼마 되지 않을때는 사실 일반계좌와 차이가 없습니다.
다만, 나중에 자산의 규모가 커졌을 때 연금계좌는 분배금이 종합소득세에 합산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현재 자산운용사들중에서 만들어 낸 괜찮은 커버드콜들이 보입니다. TIGER 미국나스닥1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미국S&P500타겟데일리커버드콜,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데일리커버드콜, KODEX 미국나스닥100데일리커버드콜OTM, 미국S&P500데일리커버드콜OTM 같은 ETF 입니다. 이러한 ETF들을 활용한다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전 물론 세금문제 발생하기 전에 매수를 시작했지만 일부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타겟데일리커버드콜을 매수하였습니다.
국내 배당주 ETF
국내 배당주 ETF는 대표적으로 PLUS 고배당주, TIGER 은행고배당플러스TOP10 등이 있는데 지난번 포스팅에도 말씀드렸던 것처럼 금융주 위주로 편성된 경우가 많고 그만큼 아직 국내주식은 배당에 있어서는 부족한 모습이기 때문에 어렵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기간의 차이가 조금 있긴 하지만 둘의 성과를 봤을 때 PLUS 고배당주는 약 2배 상승했고, SCHD는 3배 상승하였습니다. 그리고 '24년에 유난히 PLUS 고배당주의 성과가 좋았기에 그나마 이정도 따라온 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국내 배당주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고 인식들이 전환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조금 더 변화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이미 연금을 수령중이신분들이라면 국내 배당주들을 활용해볼 수는 있을 거 같습니다. 이미 이중과세를 내고 계시니 말이죠. 근데 머 환급 또한 고려중이라 하니 섣불리 움직이는 것 보다는 좀 지켜보는게 좋을 것 같긴 합니다.
美배당 ETF 세액공제방식 바뀌자…투자자 '썰물'
증권 > 정책 뉴스: 정부가 해외펀드 배당금에 대한 세액공제 방식을 변경해 절세 계좌 내 과세 이연에 따른 복리 효과가 사라지자 대표 미국 배당 ...
www.sedaily.com